Archive/영화

인사이드 잡 (Inside Job, 2010)

tunasalmon 2012. 11. 10. 03:57


진작부터 보려고 벼르다가, 마침 오늘 땡겨서 보게 된 인사이드 잡. 영화 폴더에 넣어야 할 지, 다큐멘터리 폴더에 넣어야 할 지 고민하다가 그냥 영화 폴더에 넣기로 했다. 전형적인 아메리칸 스타일의 다큐멘터리였다. 예전에 다큐멘터리사 수업시간에 '마이클 무어 뒤집어보기'라는 영화를 본 이후로는 아메리칸 스타일의 다큐멘터리를 별로 좋아하지 않게 되었지만, 영화 자체는 꽤 잘 만들어졌다. 몇 장면 캡쳐 + 매우매우매우 간단한 설명.


친절하게도 본격적인 씬이 들어가기 전에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설명을 해준다.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인한 세계 금융위기를 다루는 매체는 아주 많지만, 아마 잘 모르는 사람들은 이 영화를 보고 나면 흐름을 파악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 같다.


아이슬란드의 선진 경제가 무너진 것으로부터 영화는 시작된다. 사실 아이슬란드가 경제 강국이라고 생각해본 적은 없었는데, 영화를 보고 나서 한번 공부를 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슬란드 경제 붕괴와 미국 경제 위기 '주범'들의 행태를 연관시킨 것이 설득력이 있었다.


결국 모든 것의 시작은 저 대단한 '가진 자' 들이 더 많이 가지고자 하는 것에서 부터 비롯된 것. 경영학 전공자로서 거의 대부분의 높으신 분들이 더 많이 갖고자 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매우 불편했다. 학력과 부의 대물림의 상관관계를 느낄 수 있었던 부분. 사실 어느 정도는 공감이 가는게, 세상에 그 분야에 빠삭한 사람이 널려있지는 않다는 점이 인사권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는 고려해볼만한 요소였을 것이다. 과거의 실패가 있었지만, 그 실패를 해본 사람이기 때문에 이번엔 다를 것이라는 믿음이랄까? 그런 것들이 이들이 여전히 높은 자리에 있는데 한몫하지 않았나 싶다. 지나치게 순진한 생각일지도 모르겠지만...


아메리칸 스타일 아니랄까봐 마지막 씬을 자유의 여신상으로 가져갔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장황하지 않고 간결한 다큐멘터리였다.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분명하고, 그 메시지의 내용을 잘 전달했다. 한번 쯤 봐도 좋을 영화. 다만 누군가에게는 지나치게 일방적인 관점이 불편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